Search

성공적인 온라인 판매의 시작, ‘키워드’로 말하다

목차
이 글을 읽으면 알 수 있어요.
고객의 검색 행동을 이해하고, 상품에 적합한 키워드를 수집할 수 있어요.
키워드 도구를 활용해 검색량과 경쟁 강도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상품명을 작성할 수 있어요.

1. 고객이 ‘찾아오게’ 만드는 힘, 키워드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다 보면, 상품을 등록할 때 가장 먼저 막히는 부분이 ‘상품명’이에요. 그냥 아무 단어나 넣자니 검색이 안 될 것 같고, 키워드를 다 넣자니 지저분해 보이죠.
사실 상품명은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 고객이 검색창에 입력하는 단어와 연결된 첫 번째 노출 포인트예요. 그래서 어떤 키워드를 넣느냐에 따라 상품의 노출이나 조회수가 크게 달라지기도 해요.
고객에게 먼저 발견되는 힘, 사실 키워드 전략에서 시작돼요.
하지만 키워드를 어떻게 찾고, 어떤 식으로 상품명에 녹여야 할지는 막막할 수 있어요. 오늘은 그런 분들을 위해 상품명 작성을 위한 키워드 수집 방법을 소개해 드릴게요.

2. 키워드는 어떻게 수집하고 활용할까?

2.1. 상품을 정확히 파악하고, 고객이 떠올릴 만한 연관 단어 수집하기

예를 들어 낚시나 캠핑 등에 쓰이는 간이 의자를 판매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먼저 상품 상세페이지를 쭉 훑으며 연관 단어들을 메모장에 적어보세요. ‘접이식’, ‘휴대용’, ‘튼튼한’, ‘바다 낚시용’ 등 다양한 키워드가 떠오를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고객의 입장에서 어떤 단어로 검색할까’를 고민하는 시간입니다.

2.2. 네이버 검색창에서 자동완성과 연관 검색어 수집하기

이제 네이버 검색창에 ‘낚시 의자’를 입력해 보세요. 자동완성으로 뜨는 단어들, 그리고 검색 결과 하단의 연관 검색어들은 바로 실사용자들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입니다. 이 또한 메모장에 저장해 두세요.
여기서 중요한 건 ‘실제로 많이 검색된 키워드’라는 점입니다.

2.3. 네이버 키워드 도구 활용하기

‘네이버 검색 광고’에서 키워드 도구를 통해 다양한 관련 키워드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낚시 의자 외에도 ‘경량 캠핑 의자’ 같은 연관 키워드가 나옵니다. 데이터 좌측의 광고 경쟁 강도를 확인해보세요.
경쟁이 너무 치열하거나 너무 희박한 키워드는 피하는 게 좋습니다. 각 키워드를 클릭하고, 언제 얼마나 자주 검색되는지 확인해 보세요.
네이버 광고 바로가기 : https://manage.searchad.naver.com/

2.4. 네이버 데이터랩에서 실제 쇼핑 트렌드 확인하기

다음으로 ‘네이버 데이터랩’의 쇼핑 인사이트로 이동합니다.
여기에서는 분야 별 검색량과 트렌드를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상품에 따라 3~4페이지 이후부터는 브랜드명을 제외한 실질적이고 유용한 키워드들이 많습니다.
브랜드 키워드는 법적 이슈가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피하세요.
네이버 데이터랩 - 쇼핑 인사이트 바로가기 : https://datalab.naver.com/shoppingInsight/sCategory.naver
브랜드 키워드 등 피해야할 키워드를 모아보려면 온채널 안전거래센터에서 온채널 금칙어 리스트’를 참고하세요.
온채널 안전거래센터 : https://onchannelnotice.oopy.io/safety

2.5. 키워드 검색 툴로 경쟁 강도 분석하기

수집한 키워드를 다양한 키워드 검색 툴에 입력하면 해당 키워드의 검색량과 경쟁 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경쟁 강도에 너무 의존하지 마시고, 계절성과 트렌드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 대표적인 사이트를 이용해보시면서 내게 맞는 서비스를 선택해보세요.
키워드 검색 툴
아이템스카우트 https://itemscout.io/

3. 상품 키워드는 단순 단어가 아니라 전략입니다

많은 셀러들이 상품명을 만들 때 자주 놓치는 부분이 있어요. 바로 상품명에 ‘무료배송’, ‘빠른 배송’과 같은 스팸성 키워드나 자신의 쇼핑몰 이름을 상품명에 자주 넣는 거예요.
사실 이런 표현들은 검색에 큰 도움이 되지 않고, 네이버에서도 상품명에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단어를 사용하지 말라고 안내하고 있어요.
예를 들어 ‘지구 스토어’라는 상호를 상품명에 넣는다고 해서 누군가 그 단어를 검색해 들어올 확률은 매우 낮아요. 그보다는 ‘스마트폰 블루 실리콘 케이스’처럼 고객이 실제로 검색할 법한 표현을 넣는 게 훨씬 효과적이에요.
또 상품명은 50자 이내로 제한되기 때문에, 너무 많은 단어를 넣기보다는 핵심 키워드를 바탕으로 간결하게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국 키워드는 단순한 단어의 나열이 아니라, ‘고객의 검색 행동을 예측한 전략’입니다.
에디터 _ 디디
글 쓴 날 _ 2025. 6. 30.
최신 글도 읽어보세요!\bm{\large{\color{#2fa599}최신~글도~읽어보세요!}}
담당자가 직접 알려주는 온채널 정산 가이드
담당자가 직접 알려주는 온채널 정산 가이드
Load more
유통길잡이 - 메인으로 돌아가기
온채널이  궁금하다면?\bm{\large{\color{#2fa599}온채널이~더~궁금하다면?}}
지금 내게 필요한 교육을 찾아보세요!
본 콘텐츠는 온라인 유통 관련 사업자에게 유익할 수 있는 일반 정보를 '참고용'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정 사안에 대한 조언이나 홍보의 목적이 아니므로, 콘텐츠의 법적 적합성이나 정확성에 대해 보장하지 않습니다. 또한, 이로 인해 발생하는 직·간접적인 손해에 대해서도 어떤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주)온채널, 무단 전재 및 배포 금지\scriptsize{\color{#91908f}{\text{ⓒ(주)온채널, 무단 전재 및 배포 금지}}}